일본에게 학살당하고 강간당하고 고통당하신 선조들께서 지하에서 통곡을 하시겠구나.
더 우낀건 벚꽃축제 비난할때마다
일본의 국화는 벚꽃이 아닌 국화라는 국화론 소리해대며 그리고
벚꽃의 원산지는 제주도라며 원산지론 들이밀며
벚꽃축제를 옹호하는
스스로 노예를 자처하는 노예근성적 발언을 항상 해대는 충실한 노예근성을 보이는 애들이 있는데
지하에 계신 선조들께서 이 애들 때문에 두번 가슴이 찢어지신다.
1,국화론
일본의 국화는 벚꽃이 아닌 다른꽃이니 괞단다?
= 벚꽃이 일본국화는 아닐지언정 일본인들의 정신정인꽃 일본인들의 민족꽃이다.일본인들이 일본인을 상징하는 일본의 민족꽃이다. 그런데도 국화만 아니면 되는가?
< 세계일보>는 “벚꽃은 태평양전쟁 당시 가미카제 특공대원들이 벚꽃 가지를 꽂고 임무를 수행할 정도로 ‘죽음’과 ‘산화’를 떠올리는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자 사무라이의 ‘할복’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일본의 정신이자 사실상 ‘일본의 나라꽃’”이라며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집권 이후 일본의 우경화 경향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벚꽃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곰곰히 생각해 볼 때”라고 문제를 제기했다.<세계일보>는 “벚꽃은 태평양전쟁 당시 가미카제 특공대원들이 벚꽃 가지를 꽂고 임무를 수행할 정도로 ‘죽음’과 ‘산화’를 떠올리는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자 사무라이의 ‘할복’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일본의 정신이자 사실상 ‘일본의 나라꽃’”
2, 원산지론
벚꽃의 원산지는 한국이니 괜찮다?
=그럼 일본인은 한국에서 건너간 사람들이니 일본인은 한국인인가? 일본의 한국침략과 식민지배 민족말살도 일본은 한국이니 한국이 한국을 공격한 것이니까 뭐 침략도 아니고 말살도 아니고 식민지배도 아닌 그냥 뭐 괜찮은 것이겠네.
그럼 무궁화는 원산지가 중국이니 중국꽃이군.
대한민국 벚꽃축제의 진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4019.html
3~4월 벚꽃구경은 하나의 여행상품으로 각광받을 정도로 우리에게 자연스러운 문화가 됐지만, 일본 제국주의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다시 한번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일제가 을사조약 이후 ‘사쿠라’를 서울 도심부터 전국으로 심어 정서의 일본화를 꾀했다”고 지적한다.
벚꽃도시 진해의 기원은 러일전쟁 전승기념탑 건립과 벚나무 심기
세계적인 벚꽃 도시인 진해의 경우 러일전쟁(1904년 2월∼1905년 9월)의 전승지로 제왕산 꼭대기에 1929년 ‘일본해해전기념탑’을 세우면서 벚꽃 심기에 참여한 것이 기원이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서울시 기획관리실장을 지낸 손정목 서울시립대 명예교수는 <세계일보>에서 “재일교포가 기증한 꽃을 어디에 심을까 고민하다 미국 워싱턴DC 포토맥 강변의 벚꽃처럼 여의도에 심을 것을 제안해 1960년대 여의도 국회뒷길에 둑을 쌓으면서 환경미화 차원에서 이뤄졌다”고 증언했다.
이 당시 벚꽃 심기 운동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논거는 박만규, 부종유 두 식물학자가 한라산에서 자생 왕벚나무를 발견한 뒤 내놓은 “왕벚나무의 원산지는 제주도”라는 학설이었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에도 벚꽃이 일본의 나라꽃이라는 인식은 여전했고 이 때문에 1960년대 중반 이후 벚꽃 심기 운동에 비판 여론이 형성되기도 했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원산지설’을 앞세워 국민감정을 무시하고 벚꽃을 심었다고 <세계일보>는 보도했다.
심상정 의원, “문화적 식민전략과 연결된 벚꽃축제 재검토돼야”
벚꽃축제 논란의 불은 민주노동당 심상정 의원이 지폈다. 심 의원은 5일 CBS 라디오 ‘뉴스야 놀자’와의 인터뷰에서 국회 주변의 벚꽃 축제에 대해 “벚꽃 유명 지역의 벚꽃 나무 유래가 일본의 문화적 식민 전략과 연결돼 있는 것은 분명한 만큼 다른 곳은 몰라도 대한민국의 상징인 여의도 국회의사당을 둘러싼 윤중로 벚꽃 축제는 재검토돼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그는 “벚꽃으로 유명한 여의도 윤중로나 진해 등의 벚꽃나무는 재일교포나 일본측에서 전략적으로 옮겨 심은 것이 사실이며, 일본이 우리나라 식민 통치의 상징을 남기고 향수를 느끼기 위한 전략으로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밝힌 뒤 “다른 곳은 몰라도 대한민국 상징인 국회의사당 주변의 윤중로 벚꽃 축제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심 의원은 “꽃을 보고 그냥 즐기지 못하고 여러 신경을 써야 하는 현실이 슬프다. 시민들이 벚꽃을 있는 그대로 즐기는 것 자체를 비판하는 것은 무리”라면서도 “시민들이 자유롭게 지금 있는 벚꽃들을 즐길 수 있도록 하되, 다만 아직까지 일제침략의 역사 잔재가 남아 있는 현실에서 지자체 정부 차원에서 기획적인 벚꽃 축제를 치르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여의도 벚꽃축제 재검토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다만, 그는 “그렇다고 이 벚나무들을 당장 다른 나무들로 바꿔 심으려는 것도 좋은 일은 아닐 것”이라며 “벚꽃을 어떻게 하자는 식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친일 청산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벚꽃에 대한 논의도 그와 함께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일본인들의 벚나무 기증은 결국 문화 침투…일에 의해 악의적 해석 여지”
박한용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도 심 의원의 주장을 적극 거들었다. 그는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일제 이후 일본인들이 제국주의의 상징인 벚꽃을 심은 것은 문화의 다양성에서 볼 것이 아니라 문화 침투로 봐야 한다”며 “일본 우파가 ‘한국이 일본 문화를 인정하고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애당초 우리나라에는 벚꽃놀이가 없었고, 벚꽃(사쿠라) 축제 자체가 일본문화의 상징코드”라며 “오늘날 봄철 문화로 벚꽃놀이가 대두되는 것은 민망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전국에 산재한 벚꽃 전부를 문제삼을 수 없지만 현충사 같은 유적지, 국회 등에 벚꽃을 심고 즐기는 것은 우리의 정기를 훼손하는 것으로 삼가야 한다”며 “일본을 연상시킬 수 있는 벚꽃축제를 재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평우 문화연대 문화유산위원장도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벚꽃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것은 좋지만 축제라는 이름으로 전국 각지에서 야단법석을 떠는 우리를 일본의 보수우익이 어떻게 보겠냐. 결국 나를 파는 행위”라며 “이는 결국 일본의 문화 침탈을 정당화하는 꼴이며, 우리의 자존심과 정체성을 훼손하는 일”이라며 벚꽃축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진해나 여의도에 벚나무가 들어온 계기는 러일전쟁 이후, 1960년대 이후 일본인들이 묘목을 기증하면서 이뤄진 것인데 이는 선린우호의 의도가 아니라 문화침탈 차원에서 이뤄졌다”며 “지금 이 시점에서 일재 잔재인 ‘벚꽃’과 ‘벚꽃축제’에 대해 냉정하게 정리를 하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 .
그러나 이복웅 군산문화원장은 <세계일보>에서 “조성 당시 문제를 짚고 넘어가야 했지만 늦었다. 지금은 민족감정을 앞세우기보다는 특색 있는 관광축제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여가 차원에서 바라봐야 할 것”이라며 “벚꽃 축제가 지역 연례행사로 자리잡은 현실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온 국민이 ‘벚꽃축제’에 취해 있는 지금 벚꽃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는 것은 무비판적으로 수용된 외래문화에 대한 뼈아픈 반성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보인다. 한편, 여의도 ‘윤중로(윤중제)’의 어원이 강둑이 있는 지역을 뜻하는 일본말인 ‘와쥬우(와주테이, わじゅうてい)’의 한자표기에서 유래돼 일본의 잔재라는 지적도 나오면서 여의도 벚꽃축제와 관련한 논란이 더욱 확산되는 분위기다. 이후 ‘여의방죽’, ‘여의도서로’, ‘국회뒷길’ 등으로 고쳐쓰기로 했지만 여전히 ‘윤중로’라는 지명이 많이 쓰이고 있다.
왜 하필 국회의사당 앞에 벚꽃이 지천으로 깔리는지 모르겠다
일본사람들이 왜 돈을 들여 전국 사방 곳곳에 벚꽃을 퍼뜨리는지 그 의도를 생각해 봐야 한다
은연 중에 일본의 민족혼을 심으려는 것 아니냐. 일본 사람들이 벚꽃을 한국뿐 아니라 미국 등 다른 나라에 심었다고 해서 그 의미가 순수하다고 할 수 없다. 굳이 꽃놀이를 하고 싶다면 다른 꽃도 많은데 왜 하필 벚꽃이냐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