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Wednesday, April 13, 2011

동해지명표기

이기석 서울대 지리교육과 교수

우리는 2000년 역사에서 줄곧 사용해온 고유한 '동해 (East Sea)'의 명칭이 세계지도상에서 ‘일본해 (Sea of Japan)' 로 바뀌어 표기되어온 사실을 광복이후 많은 시간이 흐른 뒤에야 알게 되었다. 아마도 세계지도상에 '일본해' 단독표기는 일제 식민 잔재 가운데 아직 것 척결되지 않은 유일한 것 중에 하나로 생각된다. 그간 정부와 민간단체 그리고 학계는 국제사회에서 고유한 우리의 동해지리명칭을 되찾기 위한 다각적인 운동을 전개하여왔다. 이 글은 동해명칭 되찾기 운동의 배경과 그간의 경과 그리고 앞으로의 대응과제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동해명칭 찾기 운동

동해명칭의 되찾기 운동의 시작은 1960년대 후반부터 구미 각 국에 유학중인 학생과 특파원들에 의해 서양고지도 상에 ‘Sea of Korea, Gulf of Korea, Oriental Sea, 혹은 Corean Sea' 라고 표기된 사실을 근거로 문제가 제기되고 국내 일간지에 기사화 되면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고지도상에 조선해, 대한해, 동양해 등 다양한 표기가 되었다는 자료가 발굴되면서 더욱 문제의 심각성이 사회적으로 대두되었으나 1970년대와 1980년대는 경제발전 제일주의에 밀려 정부차원 관심의 대상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격적으로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동해 명칭 되찾기 운동을 펴기 시작한 것은 우리 정부가 유엔에 가입한 1991년 이후의 일이다. 1992년에 처음으로 정부가 유엔지명표준화회의에 공식적으로 잘못 표준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표기를 시정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다. 국제적으로 바다 명칭을 포함하여 일반 지리명칭에 대한 표준화의 문제를 다루는 기구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산하에 7개 전문가 기구 중에 하나로 유엔지명표준화회의(The United States Conferences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UNCSGN은 1965. 7. 15 설치)와 유엔지명전문가회의(The United States Groups of Experts on Geographical Names: UNGEGN은 1968. 5. 31 설치)가 1959년, 1968년 ECOSOC 결의안에 따라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후 정부는 금년 4월 뉴욕에서 개최된 제22차 유엔지명전문가회의까지 여러 차례 잘못된 표기의 시정을 요구하여 왔다. 그리고 특히, 바다명칭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국제기구로는 1921년 만들어진 국제수로기구(International Hydrograpic Orgarnization: IHO)가 있다. 이 기구는 설립이후 바다이름의 국제표준화를 위해 1929년 ‘해양과 바다의 한계 (Limits of Oceans and Seas)’ 라는 책자를 발간하면서 국제적으로 처음 동해 명칭을 “일본해(Japan Sea)”로 결정한바 있다. 즉 식민지하에서 우리 대표단이 참가하지 못한 회의에서 동해 명칭이 “일본해”로 국제적 표준화가 된 이후 아직껏 시정되지 않은 채 쓰이고 있다.

그간 해양수산부에서는 1994년이래 국제수로사무국(IHB)에 ‘일본해’ 표기에 대한 시정을 요구한 바 있으며, 아울러 IHO회원국에도 동해표기를 사용하여 줄 것을 요구하였다. 1997년 모나코에서 개최된 제15차 IHO본회의에서는 공식적으로 시정을 요청하였으며 2002년 제16차 IHO회의에서도 새로 발간 예정인 책자에서 시정하여 줄 것을 거듭 요청하였다. 이러한 우리의 노력으로 2002년 8월 IHO가 ‘해양과 바다의 한계’ 4판 개정안에서는 해당 바다지역과 명칭에 대하여 관련국간에 합의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백지지도를 삽입하여 회원국에게 배포한바 있다. 이는 IHO가 그간 ‘일본해’ 단독 표준화의 잘 못이 있었음을 처음 인정한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9월 일본의 항의 받아들여 IHO는 개정안 회람과 이 안에 대한 회원국 찬반 투표를 연기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과 함께 동해명칭 되찾기 운동을 위한 학계활동은 1994년 11월 외무부 산하에 설립된 사단법인 동해연구회(회장 김진현)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전개되었다. 동해연구회는 1994년이래 국내학술대회와 국제학술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왔다. 1995년이래 동해 지명에 대한 국제 학술 세미나에는 유엔지명전문가를 비롯하여 IHO 관계자, 그리고 국제적인 지명학자를 초청하여 바다명칭에 대한 일반론으로부터 문제지역의 표기 역사, 그리고 동해와 일본해의 기원에 대하여 집중적인 논문 발표를 하여 왔다. 그간 모두 9회에 걸친 국제회의를 통하여 150여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2000년 8월에는 서울에서 개최된 제29차 세계지리학대회(The 29th International Geographical Conference: IGC)에서는 동해명칭에 대한 특별 분과를 설치하여 제6회 동해명칭에 대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2002년에는 러시아과학원과 공동으로 Vladivostok에서 2003년에는 중국 복단대학과 공동으로 상해에서 국제세미나를 개최하였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바다의 명칭과 관련된 학술회의로는 이 세미나가 유일한 것으로 국제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기 시작하고 있다.

(그림을 클릭하시면 확대한 그림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지도의 변화

그간의 우리 노력에 부응하여 국제사회에서도 동해표기의 정당성을 수용하기 시작하여 상당 부분의 세계적인 지도제작사와 주요 지리책, 연감들이 동해표기를 수용하거나 병기하기 시작하고 있다. 미국 지도제작회사 중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Rand McNally 지도회사의 1997년 발간된 지도(Rand McNally and Company, 28-31)는 SEA OF JAPAN(EAST SEA)으로 표기하였다. 비슷한 표기로는 WWW.ENCARTA.COM-MICROSOFT, 2000에 실린 The Most Comprehensive World Atlas Ever Created에는 Sea of Japan (East Sea)로 표기하고 있다. Canada 회사인 Warwick Publishing Inc.는 1997년 The Cartographic Satellite Atlas of The World에서 TONG-HAE/NIPPON-KAI (SEA OF JAPAN)로 각 국가에서 표준화하여 표기하는 것에 따라 generic term으로 표기하여 국제 표준화를 기하고 있다. 1998년판 Britanica CD-ROM에는 한국 중심지도에 ‘EAST SEA(SEA OF JAPAN)'로, 일본 중심지도에는 ‘SEA OF JAPAN(EAST SEA)'으로 표기하였다.

그러나 동해(East Sea) 중심의 표기를 시작한 지도도 최근에 급격히 그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서 발간된 H. J. de Blij and Peter O. Muller, 2000, Geography: Realms, Regions, and Concepts (John Wiley & Sons Inc.) 책 속에 한국과 일본 관련 모든 지도에서 East Sea(Sea of Japan)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2001부터 National Geographic Society(NGS)에서 발간하는 모든 지도에 한국 중심지도에는 East Sea(Sea of Japan)으로, 세계지도에는 Sea of Japan(East Sea)으로 그 표기 방법을 바꾸었다.

그밖에 한국알리기사업의 일환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교과서 상에도 우리의 요구가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최근 미국 3대 교과서 출판업체 가운데 하나인 하코트(Harcourt)가 새로 펴낸 중학교 교과서에 한국 관련 역사부분 지도에 동해를 `East Sea'라고 표기하고 괄호 속에 `Sea of Japan'이라고 병기해 우리의 입장을 반영했다.
이상의 사례는 세계지도 변화의 그 일부분으로서 동해명칭 표기는 이제 점진적인 전환기에 왔다고 볼 수 있다. 세계지도상에서 동해표기의 표준화는 국제기구의 결정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얼마나 열심히 우리의 정당성을 홍보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본다.


앞으로 과제

최근 일본은 유엔과 IHO회의를 비롯하여 해양명칭과 관련되는 회의 때마다 ‘일본해’의 단독표기를 주장하고 나올 뿐만 아니라 그간 관련 국제기구에서 명칭의 표준화와 관련된 결의된 사항까지도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고 있다. 더군다나 그간 우리의 노력으로 국제사회에서 시정된 동해표기까지 ‘일본해’로 되돌려놓으려고 하고 있다. 최근 프랑스해도에서 병기되었던 것을 ‘일본해’로 바꾸어 놓는가 하면, 독일에서 이미 병기된 세계지도책의 전시를 못하게 업자에게 압력으로 넣는 일, 그리고 일본 외교관이 동해관련 국제세미나에 참가한 지명학자나 주최 측을 찾아가 은근히 압력을 가하는 행위는 정당하지 못한 행태라고 할 수 있다.

2002년 유엔지명표준화회의에서는 물론 2004년 유엔지명전문가회의에서도 모두 관련 당사국간에 합의 해결을 촉구하였으며 이 바다 명칭의 표준화는 모두가 동의해야한다는 원칙을 천명한바 있다. 그리고 유엔은 관련 당사국간에 합의 사항을 2007년 유엔회의에 보고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현재로 보아 IHO의 새로운 결정과 최근 논의가 시작된 한일간의 협의를 통하여 이 문제 해결의 방향이 결정되리라 생각된다.

이같이 동해명칭의 국제적 표준화에는 많은 장애 요소들이 가로 막고 있다. 우리의 목적을 당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제사회에서 ‘일본해’ 단독표기의 부당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홍보하도록 해야만 할 것이다. 유엔이나 IHO에서 외교적 활동도 중요하지만 세계적인 지도 제작자와 언론기관 그리고 관련 학자들에게 정확한 홍보자료를 전달하여 부당성을 알려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동해국제세미나를 더욱 활성화 시키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관련 홍보책자는 물론 영문판 한국지도책 (Atlas of Korea)를 제작하여 전세계에 배포하도록 해야만 할 것이다. 더군다나 최근에는 일본이 독도의 지명을 ‘다게시마’로 병기하거나 바꾸는 일을 꾸미고 있다니 이 한국지도책의 제작 배포는 시급한 사안이 아닐 수 없다고 본다.

우리의 동해명칭 국제적 표준화 노력은 일제하에 있었던 1929년 IHO에서 결정된 식민지 잔재를 제거하여 독립국가의 자존심과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14세기이후 수세기에 걸친 덴마크 식민지에서 1944년 독립한 아이슬랜드가 최근 그린랜드 사이에 식민지시기에 명명한 “덴마크해협 (Denmark Strait)” 명칭을 새로운 이름으로 바꾸는 일을 하고 있다. 이 일은 결코 남의 일이 아니라고 본다. 유엔 결의에 의하면 “국내에서 표준화된 지명을 국제표준화의 기준으로 삼는다”는 기본 원칙이 이미 오래전부터 모든 나라에 적용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동해의 지리명칭은 지난 2000년 동안 국내에서 사용되어온 표준화된 명칭이다. 우리는 이 유엔 결의에 준하여 전 세계가 동해명칭을 표준화된 지명으로 사용하도록 홍보 노력을 배가해야겠다.

출처: http://www.ikorea.ac.kr/webzine/0408/inc/column.asp

Tuesday, April 5, 2011

日 교과서 역사왜곡, 독도만이 아니다

[서울신문]대담하게도 독도 영유권을 주장한 일본 중학교 교과서를 두고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워낙 자주 분기탱천하다 보니 ‘실효적 지배’ 같은 어려운 단어가 별스럽지 않게 쓰여질 정도다. 그런데 문제는 독도만이 아니란 것이다. 때문에 역사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독도에 다른 문제가 파묻히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애초 가장 큰 관심을 모았던 출판사는 이쿠호샤와 지유샤. 이 두 출판사는 1997년 출범한 우익단체 ‘새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에 뿌리를 두고 있다. 두 교과서가 애초부터 주목받은 이유려니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한 교과서 가운데 하나’쯤으로 치부하기 곤란한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 고대사 깎아내리기 여전

기 본적으로 한국 고대사 깎아내리기는 여전하다. 가령 한사군 이후 2세기에나 들어서야 한국에 고대국가가 들어서기 시작한 것처럼 묘사한다. 고조선은 신화에 불과하고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겨우겨우 국가를 세우기 시작한다는, 국내에서 혹독한 비판을 받는 식민사관이 고스란히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일본에 문화를 전파한 도래인의 존재에 대해서는 모두가 인정했다. 그러나 미묘한 차이도 눈에 띈다.

다 른 출판사들은 도래인이 존재했고 이들이 일본으로 넘어와 문화 전반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는 식으로 서술돼 있는 반면 이쿠호샤는 도래인 대신 ‘귀화인’이란 용어를 앞세웠다. 이는 지유샤의 서술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한국이 많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보다 일본이 알아서 이들을 잘 포용했다는 점을 강조한 서술이다.

●임나일본부 기정사실화

여기에다 임나일본부 서술도 강화됐다. 다른 교과서들은 ‘임나 지역에 일본이 진출했다는 주장이 있다.’는 수준에 그친 반면 이쿠호샤와 지유샤는 임나일본부를 기정사실화했을 뿐 아니라 지유샤의 경우 ‘5세기 동아시아’ 지도를 통해 임나가 한반도 남부 전역이라 표시까지 해 뒀다.

왜 구의 구성도 논란거리다. 지유샤는 왜구에 대해 “일본인 외에 조선인이 다수 포함돼 있었다.”고 서술했다. 정재정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은 “왜구는 일본의 잔학상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사례로 국제 학계에 통용된다.”면서 “그런 비판적 인식을 피하기 위해 왜구의 활동 책임을 한국으로 떠넘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조선의 건국을 서술하면서 조선이란 국호 대신 굳이 ‘이씨 왕조’라는 표현을 강조하는 것도 이들 두 교과서다. 임진왜란 서술도 마찬가지다. 다른 교과서들은 일본이 전쟁을 일으켜 조선인들이 많은 피해를 봤다는 식의 건조한 서술을 선보인다.

그러나 이쿠호샤와 지유샤는 전국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의기충천을 강조한다. 특히 지유샤는 도요토미가 중국을 넘어 인도까지 공략하는 장대한 스케일의 구상을 품고 있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정 한론에 대한 서술도 두 교과서는 유독 편파적이다. 다른 교과서들에는 조선이 일본의 과도한 요구를 수용하지 않자 조선을 정벌하자는 의견이 대두됐고, 이 의견은 일본 내에서 크게 받아들여지지 않아 정한론을 주장했던 이들이 실각했다는 내용까지 포함돼 있다. 그러나 유독 이들 두 교과서만큼은 조선의 폐쇄적인 정책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정한론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고만 서술해 뒀다.

1910 년 강제병합에 이르기까지의 과정도 이들 두 교과서는 “어쩔 수 없이 했다.”는 데 강조점을 찍는다. 다른 교과서들은 일본이 외교권을 박탈하고, 내정권을 틀어쥐어 이 과정에서 많은 저항이 있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반면 이쿠호샤는 “일본도 인접한 조선이 러시아 등 구미열강의 세력에 놓이게 되면 자국의 안전이 위협받게 될 것이라는 위기감이 강해졌다.”고 서술했다. 일본으로서는 선택할 카드가 없었다는 주장이다. 지유샤는 아예 한술 더 떠서 “러일전쟁 뒤 일본은 한국통감부를 두고 근대화를 추진했다.”고 썼다.

●3·1운동 폄하… 종군위안부 서술 없애

이 는 자연스레 3·1운동에 대한 폄하로 이어진다. 다른 교과서들은 윌슨 미국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로부터 대규모 시위로 이어지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지만, 이쿠호샤는 시위 사진 1장으로 대체해 버렸고 지유샤는 ‘초기엔 비폭력, 나중엔 충돌로 사상자 발생’ 정도로만 간략히 언급하고 만다.

일본의 식민지 정책에 대해서도 다른 교과서에는 창씨개명, 황국신민화 같은 용어들이 등장하지만, 이쿠호샤와 지유샤는 교묘하게 이를 비튼다.

가령 종군위안부에 대한 서술은 사라졌고 창씨개명의 강제성과 저항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한다. 여기에다 지유샤는 “미혼 여성은 여자정신대로서 공장에서 일하게 됐다.”고까지 해 뒀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Monday, December 13, 2010

[스크랩] 왜 하필 국회의사당 앞에 벚꽃이 지천으로 깔리나

일본에게 학살당하고 강간당하고 고통당하신 선조들께서 지하에서 통곡을 하시겠구나.

더 우낀건 벚꽃축제 비난할때마다

일본의 국화는 벚꽃이 아닌 국화라는 국화론 소리해대며 그리고

벚꽃의 원산지는 제주도라며 원산지론 들이밀며

벚꽃축제를 옹호하는

스스로 노예를 자처하는 노예근성적 발언을 항상 해대는 충실한 노예근성을 보이는 애들이 있는데

지하에 계신 선조들께서 이 애들 때문에 두번 가슴이 찢어지신다.

1,국화론

일본의 국화는 벚꽃이 아닌 다른꽃이니 괞단다?

= 벚꽃이 일본국화는 아닐지언정 일본인들의 정신정인꽃 일본인들의 민족꽃이다.일본인들이 일본인을 상징하는 일본의 민족꽃이다. 그런데도 국화만 아니면 되는가?

< 세계일보>는 “벚꽃은 태평양전쟁 당시 가미카제 특공대원들이 벚꽃 가지를 꽂고 임무를 수행할 정도로 ‘죽음’과 ‘산화’를 떠올리는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자 사무라이의 ‘할복’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일본의 정신이자 사실상 ‘일본의 나라꽃’”이라며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집권 이후 일본의 우경화 경향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벚꽃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곰곰히 생각해 볼 때”라고 문제를 제기했다.<세계일보>는 “벚꽃은 태평양전쟁 당시 가미카제 특공대원들이 벚꽃 가지를 꽂고 임무를 수행할 정도로 ‘죽음’과 ‘산화’를 떠올리는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자 사무라이의 ‘할복’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일본의 정신이자 사실상 ‘일본의 나라꽃’”

2, 원산지론

벚꽃의 원산지는 한국이니 괜찮다?

=그럼 일본인은 한국에서 건너간 사람들이니 일본인은 한국인인가? 일본의 한국침략과 식민지배 민족말살도 일본은 한국이니 한국이 한국을 공격한 것이니까 뭐 침략도 아니고 말살도 아니고 식민지배도 아닌 그냥 뭐 괜찮은 것이겠네.

그럼 무궁화는 원산지가 중국이니 중국꽃이군.

대한민국 벚꽃축제의 진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4019.html

3~4월 벚꽃구경은 하나의 여행상품으로 각광받을 정도로 우리에게 자연스러운 문화가 됐지만, 일본 제국주의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다시 한번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일제가 을사조약 이후 ‘사쿠라’를 서울 도심부터 전국으로 심어 정서의 일본화를 꾀했다”고 지적한다.

벚꽃도시 진해의 기원은 러일전쟁 전승기념탑 건립과 벚나무 심기


세계적인 벚꽃 도시인 진해의 경우 러일전쟁(1904년 2월∼1905년 9월)의 전승지로 제왕산 꼭대기에 1929년 ‘일본해해전기념탑’을 세우면서 벚꽃 심기에 참여한 것이 기원이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서울시 기획관리실장을 지낸 손정목 서울시립대 명예교수는 <세계일보>에서 “재일교포가 기증한 꽃을 어디에 심을까 고민하다 미국 워싱턴DC 포토맥 강변의 벚꽃처럼 여의도에 심을 것을 제안해 1960년대 여의도 국회뒷길에 둑을 쌓으면서 환경미화 차원에서 이뤄졌다”고 증언했다.

이 당시 벚꽃 심기 운동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논거는 박만규, 부종유 두 식물학자가 한라산에서 자생 왕벚나무를 발견한 뒤 내놓은 “왕벚나무의 원산지는 제주도”라는 학설이었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에도 벚꽃이 일본의 나라꽃이라는 인식은 여전했고 이 때문에 1960년대 중반 이후 벚꽃 심기 운동에 비판 여론이 형성되기도 했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원산지설’을 앞세워 국민감정을 무시하고 벚꽃을 심었다고 <세계일보>는 보도했다.

심상정 의원, “문화적 식민전략과 연결된 벚꽃축제 재검토돼야”



벚꽃축제 논란의 불은 민주노동당 심상정 의원이 지폈다. 심 의원은 5일 CBS 라디오 ‘뉴스야 놀자’와의 인터뷰에서 국회 주변의 벚꽃 축제에 대해 “벚꽃 유명 지역의 벚꽃 나무 유래가 일본의 문화적 식민 전략과 연결돼 있는 것은 분명한 만큼 다른 곳은 몰라도 대한민국의 상징인 여의도 국회의사당을 둘러싼 윤중로 벚꽃 축제는 재검토돼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그는 “벚꽃으로 유명한 여의도 윤중로나 진해 등의 벚꽃나무는 재일교포나 일본측에서 전략적으로 옮겨 심은 것이 사실이며, 일본이 우리나라 식민 통치의 상징을 남기고 향수를 느끼기 위한 전략으로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밝힌 뒤 “다른 곳은 몰라도 대한민국 상징인 국회의사당 주변의 윤중로 벚꽃 축제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심 의원은 “꽃을 보고 그냥 즐기지 못하고 여러 신경을 써야 하는 현실이 슬프다. 시민들이 벚꽃을 있는 그대로 즐기는 것 자체를 비판하는 것은 무리”라면서도 “시민들이 자유롭게 지금 있는 벚꽃들을 즐길 수 있도록 하되, 다만 아직까지 일제침략의 역사 잔재가 남아 있는 현실에서 지자체 정부 차원에서 기획적인 벚꽃 축제를 치르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여의도 벚꽃축제 재검토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다만, 그는 “그렇다고 이 벚나무들을 당장 다른 나무들로 바꿔 심으려는 것도 좋은 일은 아닐 것”이라며 “벚꽃을 어떻게 하자는 식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친일 청산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벚꽃에 대한 논의도 그와 함께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일본인들의 벚나무 기증은 결국 문화 침투…일에 의해 악의적 해석 여지”


박한용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도 심 의원의 주장을 적극 거들었다. 그는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일제 이후 일본인들이 제국주의의 상징인 벚꽃을 심은 것은 문화의 다양성에서 볼 것이 아니라 문화 침투로 봐야 한다”며 “일본 우파가 ‘한국이 일본 문화를 인정하고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애당초 우리나라에는 벚꽃놀이가 없었고, 벚꽃(사쿠라) 축제 자체가 일본문화의 상징코드”라며 “오늘날 봄철 문화로 벚꽃놀이가 대두되는 것은 민망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전국에 산재한 벚꽃 전부를 문제삼을 수 없지만 현충사 같은 유적지, 국회 등에 벚꽃을 심고 즐기는 것은 우리의 정기를 훼손하는 것으로 삼가야 한다”며 “일본을 연상시킬 수 있는 벚꽃축제를 재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평우 문화연대 문화유산위원장도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벚꽃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것은 좋지만 축제라는 이름으로 전국 각지에서 야단법석을 떠는 우리를 일본의 보수우익이 어떻게 보겠냐. 결국 나를 파는 행위”라며 “이는 결국 일본의 문화 침탈을 정당화하는 꼴이며, 우리의 자존심과 정체성을 훼손하는 일”이라며 벚꽃축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진해나 여의도에 벚나무가 들어온 계기는 러일전쟁 이후, 1960년대 이후 일본인들이 묘목을 기증하면서 이뤄진 것인데 이는 선린우호의 의도가 아니라 문화침탈 차원에서 이뤄졌다며 “지금 이 시점에서 일재 잔재인 ‘벚꽃’과 ‘벚꽃축제’에 대해 냉정하게 정리를 하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 .

그러나 이복웅 군산문화원장은 <세계일보>에서 “조성 당시 문제를 짚고 넘어가야 했지만 늦었다. 지금은 민족감정을 앞세우기보다는 특색 있는 관광축제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여가 차원에서 바라봐야 할 것”이라며 “벚꽃 축제가 지역 연례행사로 자리잡은 현실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온 국민이 ‘벚꽃축제’에 취해 있는 지금 벚꽃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는 것은 무비판적으로 수용된 외래문화에 대한 뼈아픈 반성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보인다. 한편, 여의도 ‘윤중로(윤중제)’의 어원이 강둑이 있는 지역을 뜻하는 일본말인 ‘와쥬우(와주테이, わじゅうてい)’의 한자표기에서 유래돼 일본의 잔재라는 지적도 나오면서 여의도 벚꽃축제와 관련한 논란이 더욱 확산되는 분위기다. 이후 ‘여의방죽’, ‘여의도서로’, ‘국회뒷길’ 등으로 고쳐쓰기로 했지만 여전히 ‘윤중로’라는 지명이 많이 쓰이고 있다.




왜 하필 국회의사당 앞에 벚꽃이 지천으로 깔리는지 모르겠다

일본사람들이 왜 돈을 들여 전국 사방 곳곳에 벚꽃을 퍼뜨리는지 그 의도를 생각해 봐야 한다

은연 중에 일본의 민족혼을 심으려는 것 아니냐. 일본 사람들이 벚꽃을 한국뿐 아니라 미국 등 다른 나라에 심었다고 해서 그 의미가 순수하다고 할 수 없다. 굳이 꽃놀이를 하고 싶다면 다른 꽃도 많은데 왜 하필 벚꽃이냐

원문보기

Monday, November 29, 2010

[스크랩] 이명박 정부의 대북송금

 
[KBS]
한나라당 정권 등장이후 북한에 들어간 현금이 7억6천5백만달러
이명박 정부 들어서 대북 교류가 줄어들면서 송금액도 감소했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오히려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명박 정부 들어서는 임기 절반인 지난 6월까지 모두 7억 6천 5백만 달러를 송금했습니다.  
http://news.kbs.co.kr/politics/2010/10/05/2171622.html
 
[조선일보] 2010년 10월 05일(화) 오후 11:40 
국회 외교통상위 윤상현 한나라당 의원이 5일 통일부 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윤상현 의원은 “이명박 정부에서는 정상적인 경제교류만으로도 지난 정부보다도 훨씬 더많은 현금이 북한에 들어간 것"이라고 말했다.
 
http://shyoon.co.kr/comm/bbs/board.php?bo_table=sub03_05&wr_id=693
<인터뷰>윤상현(한나라당 의원): "일각에서는 이명박 정부 들어서 북한에다 들어가는 현금이 너무줄어서 북한이 불만이고 남북관계가 경색이 되있다라고 얘기를 하는데 오히려 정 반대이다. 현정부 들어서 더많은 달러가 북한에 들어갔다."

[한국일보]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건설은 2009년 4월 이후에 건설된것.
http://news.hankooki.com/lpage/world/201011/h2010112121320722450.htm
"미 관리들은 국제사찰단이 추방된 2009년 4월까지 우라늄 시설이 없었던 점과 북한의 경제난, 국제사회의 제재 등을 감안하면 원심분리기는 그 이후 "외부의 도움"으로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뉴욕타임스에 전했다 신고하기 new

Monday, November 8, 2010

[스크랩] 일제차의 불편한 진실

등록일 : 10.10.30 (토) 03:19 | 조회:11,430 | 추천:280

보배드림 직분사터보세단 님의 글 입니다



일제차 사지 말자는 얘기를 국산차 사자는 얘기로 매도하는건 무슨 논리인가요.
막말로, 일제차 브랜드 국내에서 있던 말던 국내 시장에는 하등 영향 없습니다.
한달에 3백대도 안팔리는 캠리, 존재감도 없는 알티마, 어코드..그거 불매한다고 한국 자동차업체들 몇대나 더 팔것 같습니까? 국산차 판매량 늘리자고 일제차 불매하자는건 택도없는 소리입니다. 차라리 그럴 시간에 경기부양...아니, 출산장려를 하는게 국산차 판매량엔 훨씬 도움이 될겁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왜 자꾸 일제차 사지 말자고 할까요?

강제로 위안부 끌려간 할머니나, 강제징용되어서 짐승취급도 못받고 팔,다리 잘려나간 할아버지들 캠리나 어코드, 레가시, 알티마 같은 차에 태우실 수 있습니까?
위에 혼다나 토요타 무슨 죄냐고 하시는데..1등 전범기업인 타치가와 비행기에서 수석엔지니어였던 하세가와가 만든게 현재의 토요타가 있게 해준 코롤라, 크라운 같은 차종들입니다.
현재 토요타가 있게 해준 그 대단한 엔지니어가, 우리 부모, 조부모님들 죽이고 다니던 비행기 만든놈이란 말입니다. 물론 타치가와의 강제징용은 말할것도 없구요.
혼다요? 전쟁때 군수부품 만들던 1급 전범기업이 혼다입니다.
닛산이랑 미쓰비시는 말 안해도 유명하죠?

요즘 사람들, 일본 기업들, 정부가 전범기업의 역사를 지우려 모진 애를써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현재 일본을 있게해준 대부분의 기업들이 우리 땅에서 우리 부모 형제, 조부모님들 죽이고 착취하고 자원 강탈해서 거대해진 기업들입니다.
일본에 현재와 같은 대기업들(혼다, 토요타, 캐논과 같은..)이 없었다면,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될 수 있었을까요?
그 대기업들(대다수가 전범기업)이, 당시 한국 침략을 통한 자원강탈, 강제징용 및 인력 착취가 없었으면 존재했을 것 같습니까?
아니, 그렇게 착취하고도 6.25 이전까지는 거의 망해갔습니다.
다 망해가다가 어떻게 세계 경제 2위의 기반을 닦을 수 있었을까요?
6.25때 군수품, 물자 등등...이른바 6.25 특수를 통해서 갑자기 일어난겁니다.
우리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고 있을때, 그네들은 그 피와 고름, 한국의 척수를 뽑아먹으며 세계 경제 2위의 기반을 닦고 있었단 말입니다.

위에 몇몇분들이 부품 얘기 하셨죠??
사실상 전자제품, 차, 공산품들을 살때 그 안에 들어간 부품 하나하나, 칩 하나하나 뜯어봐가며 일제 부품 들어간거 구분해서 안살 수 있습니까? - 불가능합니다.
일제 브랜드 차, 안살 수 있습니까? - 가능합니다.
선택이 가능한 문제와, 선택이 불가능한 문제를 구분하셔야죠.
당연히 가능하다면 부품도 안사는게 좋겠지만, 그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 않습니까.
일제차 타고, 위안부 할머니들 앞에 부끄럽지 않습니까? 그들 손에 죽어나간 조상님들 뵙기 부끄럽지 않습니까?
일제차를 타고, 자식들에게 일본이 한국에 강제 침탈했던 역사를 당당히 얘기할 수 있습니까??






일본과 무역을 단절하자는 얘기도, 민족주의를 앞세워 일본을 배척하자는 것도 아닙니다. 줄건 주고, 얻을건 얻으면서 유리한 교역과 외교를 해야죠.

소비자는 당연한 권리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유에 책임이 따르듯, 소비자의 권리에도 선택에 대한 책임이 따릅니다.
본인이 지불한 돈 몇천만원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는 알고 소비해야 현명한 소비자 아닙니까? 어떤분이 거시적인 관점도 말씀하셨는데,
"내가 내 돈내고 샀으니 끝, 난 몰라" 이런 근시안적인 생각 말고, 내가 지불한 돈이 내가 속한 사회와 구성원들, 내가 속하지 않은 사회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는 아는..거시적인 안목을 갖는 진정한 소비자가 되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역사 다 배우잖습니까?



쿨한게 대세니까, 쿨하게 과거는 모두 잊었다 칩시다.
과거의 전범기업들이었던..전쟁에 큰 기여를 했던 기업들의 과거는 잊어준다 칩시다.
자, 토요타, 혼다, 닛산, 스바루 등등...이 기업들의 공통점이 뭡니까?
일본 우익단체의 자금줄입니다. 우익세력들의 후원금은 모두 이 기업들이 냅니다.
우익단체들이 하는 일이 뭡니까? 교과서를 지네 입맛대로 고치고, 해외에 김치가 자기네꺼라 하고, 세계에 동해가 일본해라고 알리고, 역사를 왜곡하고...이게 바로 우익단체들이 하는 일입니다. 걔네들 이런 짓 해서 먹고사는 애들입니다.
일본차 사면서 내는 그 몇천만원이 그런 우익단체들의 자금이 된다는 말입니다.
돈을 그런 곳에 쓰고도, 왜구가 교과서를 왜곡하네, 독도가 지네땅이라 하네, 김치가 자기네꺼라 하네, 동해가 일본해라 하네...이걸 욕할 수 있습니까? 본인이 그런데 돈을 후원해주고선 그런걸 욕할 수 있습니까??

그래요, 과거는 과거니까 잊는다 치자구요. 그럼 현재는 어떻습니까?
일본차 타고 독도가 한국땅이라 말하지 마십시오. 독도가 일본땅이라 알리는 단체에 후원금 보낸분들이 무슨..
위안부 할머니들 불쌍히 여기지 마십시오. 돈받고 몸팔러온 창녀라고 알리는 단체에 후원금 보낸분들이 무슨 말씀이십니까? 경제와 역사는 별개 아니겠습니까?
세계지도에 동해가 Sea of Japan 라고 적힌데 답답해하지 마십시오. 그 지도 만들고 세계에 뿌리라고 돈 넣어주셨잖습니까?



독일인들 어떻습니까?
아직도 과거를 부끄러이여겨 어디가서 국가 한번 시원하게 못부르고, 자기네 국기 시원하게 자랑 못합니다. 독일내에서 국기 계양하면 사람들 깜짝 놀랍니다. 세계대전 시절, 유태인 핍박 시절이 한참 지난 후에 태어난 독일인들도 자기네 역사 부끄러운거 모르는 사람 없고, 반성 안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최소한 일본처럼 있는 사실을 왜곡하려 하지는 않습니다.
강제로 처녀들 끌고와서 군인들 성노리개로 써놓고선, 돈받고 몸판 창녀들로 몰아세우진 않습니다. 위안부 할머니들 얼마전 일본 정부로부터 몇십원씩 받은거 아십니까?
위로금이 몇십원입니다. 독일이 자기네 과거를 부끄러워하고 세계에 미안해하고 있을때, 일본 정부는 강제로 겁탈했던 처녀들에게 위로금이라고 몇십원 던져주고 있습니다.
그런 우익 정치세력들 활동 자금 다 어디서 나올까요? 토요타, 혼다, 닛산, 미쓰비시 같은 회사들입니다.

그리고, 독일인이 우리나라 처녀들 데리고 가서 군인들 성노리개로 강간했습니까? 우리 부모님들 독일인이 죽이고 시체 갈갈히 찢었습니까?
독일인이 독도보고 독일 땅이라던가요? 독일인이 동해가 독일바다라고 하던가요?

만약 왜구들의 만행이 과거에서 그쳤다면, 역사와 경제? 별개일 수 있겠죠.
하지만 그들은 엄연히 현재진행형이고, 경제활동에서 발생한 돈이 바로 그 역사왜곡의 자금이 되고, 우익 정치가들과 우익 세력들의 자금이 되는데
어떻게 그게 별개입니까?? 일본차 사는게 역사와 정치와 별개라는 사람은
1. 알면서도 외면하는것 2. 몰라서 하는 소리 3. 그냥 억지
이 셋 중 하나입니다.



이글의 포인트는
전범기업 일제차 회사들의
과거 그리고 현재 진행형인 한국, 한국인에 대한 만행들에 대해,
자본주의 사회의 투표권인 소비를 자제 하자는
내용

동해 해류만 봐도 ‘독도는 우리 땅’


[중앙일보 최현철]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연오랑과 세오녀. 이들이 바위를 타고 신라에서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전설이 있다. 이 전설, 어쩌면 가능했을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해양조사원이 1993년부터 2008년까지의 인공위성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진 동해 해류도를 분석한 결과 동해의 해류가 동해안에서 울릉도와 독도를 거쳐 일본 오키군도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해양조사원은 이를 토대로 고대에도 독도가 우리 영토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31일 밝혔다.

 해양조사원에 따르면 대마난류는 대한해협을 통과해 동해로 들어온 뒤 세 방향(동한난류, 외해분지류, 일본 연안분지류)으로 갈린다. 이 중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난류는 중부 지방에서 해안을 이탈해 울릉도와 독도를 거쳐 일본 오키군도 부근으로 흐른다. 또 종종 울릉도와 독도 사이 해역에서 반경 100㎞의 시계방향 소용돌이를 만들기도 한다.

 해양조사원은 동력을 이용할 수 없었던 2000년 전 바람이나 해류에만 의지해 배를 띄워도 포항에서 동한난류를 따라 울릉도나 독도에 쉽게 도달할 수 있었다고 추정했다. 또 시계방향 소용돌이를 이용해 왕복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면 오키군도에서 독도 쪽으로는 해류의 흐름을 거슬러야 하기 때문에 고대 항해술로는 뱃길을 열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분석됐다. 해양조사원 변도성 연구사는 “이 같은 표층해류 흐름은 과거부터 한반도에서 울릉도와 독도로 접근하기 쉬웠음을 보여준다”며 “따라서 물길 분석으로도 독도가 고대부터 우리 땅이라고 추정하는 게 합리적”고 설명했다.

 해양조사원은 이 같은 추정을 실증하기 위해 조만간 고대인들이 이용했을 것으로 보이는 뗏목이나 통나무배로 울릉도와 독도 왕복항해를 실행하기로 했다.

최현철 기자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msn.com/center/v2010/power_reporter.asp

Thursday, September 23, 2010

노무현 전 대통령의 독도 연설문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독도는 우리 땅입니다. 그냥 우리 땅이 아니라 특별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 우리 땅입니다. 독도는 일본의 한반도 침탈 과정에서 가장 먼저 병탄된 역사의 땅입니다. 일본이 러일전쟁 중에 전쟁 수행을 목적으로 편입하고 점령했던 땅입니다.

러일전쟁은 제국주의 일본이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 일으킨 한반도 침략전쟁입니다. 일본은 러일전쟁을 빌미로 우리 땅에 군대를 상륙시켜 한반도를 점령했습니다. 군대를 동원하여 궁을 포위하고 황실과 정부를 협박하여 한일의정서를 강제로 체결하고, 토지와 한국민을 마음대로 징발하고 군사시설을 설치했습니다. 우리 국토에서 일방적으로 군정을 실시하고, 나중에는 재정권과 외교권마저 박탈하여 우리의 주권을 유린했습니다.

일본은 이런 와중에 독도를 자국 영토로 편입하고, 망루와 전선을 가설하여 전쟁에 이용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한반도에 대한 군사적 점령상태를 계속하면서 국권을 박탈하고 식민지 지배권을 확보하였습니다.

지금 일본이 독도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제국주의 침략전쟁에 의한 점령지 권리, 나아가서는 과거 식민지 영토권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한국의 완전한 해방과 독립을 부정하는 행위입니다. 또한 과거 일본이 저지른 침략전쟁과 학살, 40년간에 걸친 수탈과 고문·투옥, 강제징용, 심지어 위안부까지 동원했던 그 범죄의 역사에 대한 정당성을 주장하는 행위입니다. 우리는 결코 이를 용납할 수 없습니다.

우리 국민에게 독도는 완전한 주권회복의 상징입니다. 야스쿠니신사 참배, 역사교과서 문제와 더불어 과거 역사에 대한 일본의 인식, 그리고 미래의 한일 관계와 동아시아의 평화에 대한 일본의 의지를 가늠하는 시금석입니다. 일본이 잘못된 역사를 미화하고 그에 근거한 권리를 주장하는 한, 한일 간의 우호관계는 결코 바로 설 수가 없습니다. 일본이 이들 문제에 집착하는 한, 우리는 한일 간의 미래와 동아시아의 평화에 관한 일본의 어떤 수사도 믿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어떤 경제적인 이해관계도, 문화적인 교류도 이 벽을 녹이지는 못할 것입니다.

한일 간에는 아직 배타적 경제수역의 경계가 획정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이 독도를 자기 영토라고 주장하고, 그 위에서 독도기점까지 고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동해해저 지명문제는 배타적 경제수역 문제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배타적 수역의 경계가 합의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일본이 우리 해역의 해저지명을 부당하게 선점하고 있으니 이를 바로잡으려고 하는 것은 우리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따라서 일본이 동해해저 지명문제에 대한 부당한 주장을 포기하지 않는 한 배타적 경제수역에 관한 문제도 더 미룰 수 없는 문제가 되었고, 결국 독도문제도 더 이상 조용한 대응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되었습니다.

독도를 분쟁지역화 하려는 일본의 의도를 우려하는 견해가 없지는 않으나, 우리에게 독도는 단순히 조그만 섬에 대한 영유권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과의 관계에서 잘못된 역사의 청산과 완전한 주권확립을 상징하는 문제입니다. 공개적으로 당당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일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이제 정부는 독도문제에 대한 대응방침을 전면 재검토하겠습니다. 독도문제를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와 더불어 한일 양국의 과거사 청산과 역사인식, 자주독립의 역사와 주권 수호 차원에서 정면으로 다루어 나가겠습니다.

물리적인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것입니다. 세계 여론과 일본 국민에게 일본 정부의 부당한 처사를 끊임없이 고발해 나갈 것입니다. 일본 정부가 잘못을 바로잡을 때까지 국가적 역량과 외교적 자원을 모두 동원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그밖에도 필요한 모든 일을 다 할 것입니다. 어떤 비용과 희생이 따르더라도 결코 포기하거나 타협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우리의 역사를 모독하고 한국민의 자존을 저해하는 일본 정부의 일련의 행위가 일본 국민의 보편적인 인식에 기초하고 있는 것은 아닐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일 간의 우호관계, 나아가서는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태롭게 하는 행위가 결코 옳은 일도, 일본에게 이로운 일도 아니라는 사실을 일본 국민들도 잘 알고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고 냉정하게 대응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일본 국민과 지도자들에게 당부합니다. 우리는 더 이상 새로운 사과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미 누차 행한 사과에 부합하는 행동을 요구할 뿐입니다. 잘못된 역사를 미화하거나 정당화하는 행위로 한국의 주권과 국민적 자존심을 모욕하는 행위를 중지하라는 것입니다. 한국에 대한 특별한 대우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가치와 기준에 맞는 행동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역사의 진실과 인류사회의 양심 앞에 솔직하고 겸허해지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일본이 이웃나라에 대해, 나아가서는 국제사회에서 이 기준으로 행동할 때, 비로소 일본은 경제의 크기에 걸맞은 성숙한 나라, 나아가 국제사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로 서게 될 것입니다.

국민 여러분, 우리는 식민지배의 아픈 역사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선린우호의 역사를 새로 쓰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습니다. 양국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공통의 지향 속에 호혜와 평등, 평화와 번영이라는 목표를 향해 전진해 왔고 큰 관계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이 제 양국은 공통의 지향과 목표를 항구적으로 지속하기 위해 더욱 더 노력해야 합니다. 양국 관계를 뛰어넘어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 나아가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함께 힘을 모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사의 올바른 인식과 청산, 주권의 상호 존중이라는 신뢰가 중요합니다.

일본은 제국주의 침략사의 어두운 향수로부터 과감히 털고 일어서야 합니다. 21세기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 나아가 세계 평화를 향한 일본의 결단을 기대합니다.

-------------------------------------------------------------------------